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 아자, 정치부 송찬욱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송 기자, 아직 파업이 끝난 건 아닌데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는 것 같네요? 정부와 국회, 화물연대 모두요. <br> <br>그래서 오늘이 화물연대 파업의 갈림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오전에 임시국무회의를 열어서 2차 업무개시 명령을 했죠. <br> <br>다시 강공에 나선 직후 더불어민주당이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이라는 파업 전 정부안을 수용하겠다고 했고요. <br> <br>그리고 현재 화물연대는 파업을 이어갈지, 아니면 멈출지 막판 고심을 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정부가 '적당한 타협' 없이 강한 압박에 나선 게 효과를 발휘했다는 평가가 나오는데요. <br> <br>현재 남은 쟁점은 안전운임제를 3년 연장을 할지 여부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여전히 '선(先)복귀 후(後)대화' 원칙에 변함이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고요. <br> <br>이런 상태에서 화물연대가 어떤 선택을 할지가 중요한 시점입니다. <br> <br>Q. 민주당은 그동안 화물연대 편을 들어왔는데 왜 갑자기 정부안을 수용한 걸까요? <br> <br>화물연대 파업이 동력을 잃고 있는 상황에서 파업 해결을 민주당이 했다는 모습을 보이고 싶겠지요. <br> <br>민주당이 중재에 나서 정부의 안전운임제 '3년 연장'을 받아냈다, 이런 기록을 남기고 싶은게 아닐까요. <br> <br>또 화물연대 운송거부에 부정적인 여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이렇게 민주당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지요. <br> <br>[김정재 / 국민의힘 의원(국토교통위 간사)] <br>"화물연대가 본인들의 의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민주당을 통해서 표현한다는 것은 민주당이 정말 민노총의 하청기관인가라는 의심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." <br><br>실제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을 강조해온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한 여론조사 기관에서 40%대를 회복했습니다.<br> <br>Q. 정치권까지 이렇게 움직였으니, 오늘 밤 화물연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가 2주 동안 이어져온 파업의 주요 분수령이겠네요? <br> 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화물연대가 오늘 저녁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파업 철회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정부는 대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 수용 여부와 향후 파업을 어떻게 진행할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화물연대 입장에서 그냥 빈손으로 물러나기도 조금 그런 것 아닌가요? <br> <br>화물연대는 파업을 하면서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 확대를 요구하고 있죠. <br> <br>정부를 상대로 쟁취하려면 여론이 뒷받침돼야 할 텐데, 현재로서는 그렇지 않은 상태입니다. <br> <br>그래서 3년 연장이라도 우선 받은 다음에 집권 4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부와 다시 싸워보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Q. 어쨌든 정부가 키를 쥐고 있는 것 같은데, 정부 생각은 뭔가요? 일몰제 3년 연장은 받고 파업 끝낼 것 같나요? <br> <br>먼저 돌아와라, 그리고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자, 이게 대통령실 입장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화물연대 복귀를 위한 어떠한 전제조건도 있을 수 없다"며 "복귀하고 나면 대화 테이블이 열려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2주 전에 정부가 밝힌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이라고 하는 것은 화물연대가 파업에 들어가지 않을 때 얘기라며 이제는 3년 연장도 줄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입니다. <br> <br>다만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물어봤더니, 그때 상황이 돼봐야 알지 않겠느냐 이런 반응인데요.<br> <br>여지는 남겨 놓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Q. 아직 가정이긴 하지만, 이대로 파업이 끝난다면 '윤석열 정부의 승리다' 이렇게 평가할 수 있는 건가요? <br> <br>글쎄요, 현재까지 분위기는 정부 쪽으로 조금 기운 것 같은데, 아직은 단정하긴 어렵습니다. <br> <br>또 파업이 일단락되더라도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데요. <br> <br>대통령실은 2주간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3조 원에 육박하는 피해를 어떻게 할지 고민 중입니다. <br> <br>정부나 공공기관이 발주한 사업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하면 또 갈등이 생기겠지요. <br> <br>그리고 이번에 화물연대가 물러서더라도 나중에 민노총이 더 큰 세력을 규합해 투쟁에 나설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전투가 일단락되더라도, 더 큰 전쟁이 남아있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송찬욱 기자였습니다.